맨위로가기

1972년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2년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은 1972년에 열린 제38회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시상식이다. 작품상은 《외침과 속삭임》이, 감독상, 각본상, 여우주연상은 잉마르 베르히만과 리브 울만이 각각 《외침과 속삭임》으로 수상했으며, 남우주연상은 로렌스 올리비에가 《추리》로, 남우조연상은 로버트 듀발이 《대부》로, 여우조연상은 지니 버린이 《하트브레이크 키드》로 특별상은 《슬픔과 동정》이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3년 1월 - 파리 평화 협정
    파리 평화 협정은 1973년 1월 27일 베트남 전쟁 종식을 위해 체결되었으나, 남베트남 붕괴와 베트남의 공산화 통일을 초래했고, 헨리 키신저와 레득토는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했으나 레득토는 수상을 거부했다.
  • 1973년 1월 - 제30회 골든 글로브상
    1973년에 개최된 제30회 골든 글로브상은 영화와 텔레비전 분야의 뛰어난 작품과 배우들에게 상을 수여하는 시상식으로, 영화 부문에서는 《대부》와 《카바레》, TV 부문에서는 《형사 콜롬보》와 《올 인 더 패밀리》가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
  • 1972년 영화상 - 제45회 아카데미상
    제45회 아카데미상은 1973년에 열린 시상식으로, 『대부』와 『카바레』가 주요 부문에서 경쟁하여 각각 작품상과 감독상을 받았으며, 말론 브란도가 남우주연상 수상을 거부하고 사친 리틀페더를 통해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부당한 대우에 항의하는 성명을 발표하여 논란이 되었고, 찰리 채플린의 『라임라이트』가 작곡상을 수상했다.
  • 1972년 영화상 - 제30회 골든 글로브상
    1973년에 개최된 제30회 골든 글로브상은 영화와 텔레비전 분야의 뛰어난 작품과 배우들에게 상을 수여하는 시상식으로, 영화 부문에서는 《대부》와 《카바레》, TV 부문에서는 《형사 콜롬보》와 《올 인 더 패밀리》가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
  • 1972년 미국 -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은 미중 적대 관계를 종식시키고 국제 정세를 변화시킨 역사적 사건으로, 베트남 전쟁과 중소 국경 분쟁을 배경으로 비밀 외교와 핑퐁 외교를 거쳐 이루어졌으며, 상하이 공동성명 발표를 통해 관계 정상화에 합의하고 동아시아 질서 재편과 미소 관계 개선에 영향을 미쳤다.
  • 1972년 미국 - 상하이 코뮈니케
    1972년 미국과 중국이 발표한 상하이 코뮈니케는 미중 관계 정상화의 전환점으로, "하나의 중국" 정책 인정, 무역 확대, 평화 공존 원칙 확인 등의 내용을 담아 냉전 구도에 영향을 미치고 미중 관계 개선에 기여했으나, 대만 문제에 대한 명확한 합의는 이루지 못했다.
1972년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제38회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시상식1972년 12월 31일
장소뉴욕
주요 수상
작품상외침과 속삭임
감독상잉마르 베리만 - 《외침과 속삭임
남우주연상로렌스 올리비에 - 《탐정》
여우주연상시셀리 타이슨 - 《사운더》
남우조연상로버트 드 니로 - 《비열한 거리》
여우조연상제니 벌린 - 《The Heartbreak Kid》
각본상잉마르 베리만 - 《외침과 속삭임

2. 수상 부문

1972년 제38회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은 다음 부문에 상을 수여했다.

수상자 및 작품
작품상속삭임과 외침 (Viskningar och rop)
남우주연상로렌스 올리비에 - 추리
여우주연상리브 울만 - 속삭임과 외침 (Viskningar och rop), 이민자 (Utvandrarna)
감독상잉마르 베르히만 - 속삭임과 외침 (Viskningar och rop)
각본상잉마르 베르히만 - 속삭임과 외침 (Viskningar och rop)
남우조연상로버트 듀발 - 대부
여우조연상지니 베를린 - 하트브레이크 키드
특별상슬픔과 동정


2. 1. 현재의 상

작품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감독상
애니메이션 영화상
촬영상
외국어 영화상
논픽션 영화상
각본상
첫 작품상


3. 역대 수상작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는 매년 뛰어난 영화, 감독, 배우에게 상을 수여해왔다. 역대 수상작 목록은 다음과 같다.

1972년 이전의 수상작들은 하위 문단으로 정리되어 있으며, 1972년 수상작은 1972년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1972년 수상작 (제38회)

다음은 1972년 (제38회)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의 수상 내역이다.

수상자영화원제
작품상잉마르 베르히만외침과 속삭임Viskningar och ropsv
남우주연상로렌스 올리비에발자국Sleuth영어
여우주연상리브 울만외침과 속삭임Viskningar och ropsv
감독상잉마르 베르히만외침과 속삭임Viskningar och ropsv
각본상잉마르 베르히만외침과 속삭임Viskningar och ropsv
남우조연상로버트 듀발대부The Godfather영어
여우조연상지니 베를린하트브레이크 키드The Heartbreak Kid영어
특별상슬픔과 동정Le Chagrin et la Pitié프랑스어



차점자
수상자영화원제
작품상대부
이민자
The Godfather영어
Utvandrarnasv
남우주연상말론 브란도
제임스 메이슨
대부
어린이 놀이
The Godfather영어
Child's Play영어
여우주연상시실리 타이슨
해리엇 안데르손
자넷 서즈먼
사운더
외침과 속삭임
조 에그의 죽음의 날
Sounder영어
Viskningar och ropsv
A Day in the Death of Joe Egg영어
감독상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루이스 부뉴엘
대부
부르주아의 은밀한 매력
The Godfather영어
Le charme discret de la bourgeoisie프랑스어
각본상루이스 부뉴엘
장클로드 카리에르
부르주아의 은밀한 매력Le charme discret de la bourgeoisie프랑스어
남우조연상에디 앨버트
로버트 쇼
하트브레이크 키드
젊은 처칠
The Heartbreak Kid영어
Young Winston영어
여우조연상수전 타렐
이다 루피노
팻 시티
주니어 보너
Fat City영어
Junior Bonner영어


3. 2. 연도별 수상작

다음은 역대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의 수상작을 연도별로 정리한 목록이다.

연도작품상남우주연상여우주연상남우조연상여우조연상감독상각본상촬영상특별상
1972외침과 속삭임로렌스 올리비에 (탐정 게임)리브 울만 (외침과 속삭임)로버트 듀발 (대부)지니 버린 (두 사람)잉마르 베르히만 (외침과 속삭임)잉마르 베르히만 (외침과 속삭임)스벤 뉘크비스트 (외침과 속삭임)슬픔과 동정


3. 2. 1. 1935-1950

3. 2. 2. 1951-1970

1951년

1952년

1953년

1954년

1955년

1956년

1957년

1958년

1959년

1960년

1961년

1962년

1963년

1964년

1965년

1966년

1967년

1968년

1969년

1970년

3. 2. 3. 1971-1990


  • 1971년
  • 1972년
  • 1973년
  • 1974년
  • 1975년
  • 1976년
  • 1977년
  • 1978년
  • 1979년
  • 1980년
  • 1981년
  • 1982년
  • 1983년
  • 1984년
  • 1985년
  • 1986년
  • 1987년
  • 1988년
  • 1989년
  • 1990년

3. 2. 4. 1991-2010


  • 1991년
  • 1992년
  • 1993년
  • 1994년
  • 1995년
  • 1996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3. 2. 5. 2011-현재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4. 한국 영화와 NYFCC

한국 영화는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NYFCC)에서 여러 차례 주목받았다. 특히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은 제85회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2019년)에서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하며 한국 영화의 위상을 높였는데, 이는 한국 영화 최초의 NYFCC 수상 기록이다. 이창동 감독의 《버닝》 또한 제84회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2018년)에서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올랐으며, 홍상수 감독의 작품들도 여러 차례 후보에 오르는 등 한국 영화는 NYFCC에서 꾸준히 좋은 평가를 받아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